용어집
모바일 부정 광고
모바일 부정 광고
모바일 부정 광고란 무엇인가요?
모바일 부정 광고에는 사기꾼이 사용자에게 표시되지 않는 모바일 광고를 의도적으로 게재하기 위해 사용하는 일련의 기술이 포함되며, 이로 인해 게재된 광고 수가 인위적으로 부풀려지고 이후 모바일 광고 지출에서 수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부정 광고는 산업 전반의 문제이며, 모바일 광고 캠페인을 비직접 소스로 확장할 때 따르는 위험 수준을 높입니다.
모바일 부정 광고 유형
대부분의 모바일 부정 광고는 다음 4가지 전형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 실제 사용자, 실제 디바이스,가짜 액션: 이 카테고리에서 사기꾼은 클릭 스팸과 클릭 스니핑 전략, 멀웨어, 애드 스태킹을 사용하여 자연 유입 설치를 가로채려고 시도합니다.
- 실제 사용자, 실제 디바이스, 조작된 액션: 이 카테고리에서 사기꾼은 규정 준수 사기, 지리 조작, VPN, 가시성 문제, 클릭 스터핑을 사용하여 실제 활동을 조작, 마스킹, 개조합니다.
- 가짜 사용자, 실제 디바이스, 가짜 액션: 이 카테고리에는 실제 사용자를 배제하고 실제 디바이스에서 사용자 동작을 모방하는 부정 행위 작업이 포함되며, 팜(farm)과 악성 스크립트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 가짜 사용자, 가짜 디바이스, 가짜 액션: 이는 가장 정교한 카테고리로, 실제 사용자 동작을 모방하는 서버(스마트 봇과 에뮬레이터)에서 전적으로 수행되거나, 어트리뷰션 퍼널 내 서비스 간의 통신 라인을 해킹하는 방식입니다.
용어집으로 돌아가기
관련 약관
iOS IDFA
IDFA는 Identity for Advertiser의 머리글자어를 딴 것으로, Apple이 각 디바이스에 부여하는 고유 식별자입니다. 모바일 어트리뷰션에 필수적이며, 즉, 사용자 활동 파악을 트래킹하는 데 사용되고, 광고 캠페인과의 사용자 인터랙션을 측정하고 설치와 인앱 활동 등의 이벤트를 트래킹하는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설치 후 이벤트
설치 후 이벤트는 앱을 설치한 후 앱을 사용하는 동안 발생하는 모든 사용자 행동이나 이벤트입니다.
모바일 어트리뷰션 조작
모바일 어트리뷰션 조작은 곧 전환하는 사용자에게 불필요하게 모바일 광고를 게재하는 부정 행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