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집

CPV

CPV(조회수당 비용): 공식, 광고 등

CPV(조회수당 비용)란 무엇인가요?

CPV(조회수당 비용)는 모바일 동영상 광고를 시청할 때마다 광고주가 지불하는 모바일 사용자 확보 캠페인과 브랜드 인지도 캠페인에 사용되는 가격 책정 모델입니다.

조회수당 비용

광고 조회수당 비용

CPV는 보상형 비디오와 인터스티셜 비디오 등의 동영상 광고에 적용됩니다. 물론 ‘조회’ 기준은 소스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Google은 조회를 30초(광고가 30초 미만인 경우 동영상 길이)로 정의합니다. Ad Age에 따르면 Twitter의 조회 기준은 훨씬 짧으며 ‘동영상의 50% 이상이 화면에 2초 동안 재생’입니다. 이렇게 차이가 있는 이유는 사용자가 다양한 플랫폼에서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인터랙션하여 광고 조회 시간에 이러한 점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동영상 광고 캠페인을 제작할 때 이 점을 염두에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CPV 광고

기존 CPV 광고 캠페인은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려는 광고주를 대상으로 했습니다. 하지만 퍼포먼스 앱 광고주는 점점 더 CPV 기반으로 광고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이는 CPV 기반으로 구매하면 두 유형의 광고주 모두 균형 잡힌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더 일반적인 CPI(설치당 비용) 캠페인의 경우 전환의 영향으로 인해 최종 CPM이 낮아지므로 퍼포먼스 광고주가 워터폴에서 순위에서 밀려날 수 있습니다. 즉, 광고주는 인앱 인벤토리를 확보하지 못하고 캠페인을 확장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퍼포먼스 광고주는 브랜드와 동일한 가격 책정 모델을 통해 구매하여 비딩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CPV 마케팅이 광고주에게 유익한 또 다른 이유는 광고주가 효과적인 동영상 광고 캠페인으로 투자 대비 가치를 얻고 있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회수별로 성공과 비용을 측정하면 광고의 효과성, 효과적인 전략, 주의가 필요한 영역에 대한 즉각적인 지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존의 광고 결제 구조만큼 위험하지 않습니다. 실제로 조회가 제대로 발생하지 않으면 광고주는 아무도 시청하지 않는 광고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지 않습니다.

조회수당 비용 공식

CPV = 광고 비용 / 동영상 조회 수

CPCV(조회 완료당 비용), CPI(설치당 비용), CPA(특정 액션 완료당 비용) 등의 다른 가격 책정 모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

용어집으로 돌아가기

관련 약관